You are here

카지노 사이트[영어 논문 작성] 자주 혼동하는 논문용 영단어 특강 2

클라린다 세레조 | 2014년6월3일 | 조회수 58,479
명확한 글쓰기를 위한 어휘 강좌

저는 지난 수 년간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용자들이학술번역에서 흔히 저지르는 실수들을 여럿 마주쳤습니다. 영어 단어와 구문을 잘못 사용하면 독자들에게 혼란을 주거나 오해를 빚을 수 있습니다. 영어 사전이나 논문 번역 사이트 등을 활용하여도 의미의 차이를 명확하게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.

혼란을 없애고 여러분이 영어에 능숙해질 수 있도록 돕기 위해지난 포스트에서 자주 혼동하는 단어들에 대해 이야기했는데, 이번 포스트에서 몇 가지 설명을 덧붙이도록 하겠습니다.

1. Number(수) vs Amount(양)

'양(amount)'이라는 단어는 돈, 정보, 시간 등 셀 수 없는 사물에 대해 사용합니다.

[예]We received an enormousamountof help from our university.

(우리는 대학으로부터 막대한의 도움을 받았다.)

'수(number)'라는 단어는 직업, 표본, 기계 등 셀 수 있는 사물에 대해 사용합니다.

[예]I had a smallnumberof specimens left.

(적은의 견본이 남았다.)

즉, '수'와 '양'은 함께 나오는 명사가 셀 수 있느냐 없느냐에 의존하기 때문에 서로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.

 

2. Hypothesis(가설) vs Theory(이론)

'가설(hypothesis)'은 지식과 경험에 기반한 추측으로 아직 실험과 검증을 거치지 않은 것을 말합니다.

[예]Hishypothesiswas that giving his students less work would increase their test scores.

(그의가설은 학생들의 공부량을 줄이면 시험 점수가 향상된다는 것이었다.)

'이론(theory)'은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얻어진 근거에 의해 뒷받침할 수 있는 과학적 개념을 말합니다.

[예]Scientists hold thetheoryof evolution in high regard.

(과학자들은 진화이론을 높이 평가한다.)

'가설'이 '이론'을 세우기 위한 첫 단계라고 생각하면 혼동하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. 과학적 개념의 성립은 경험에서 우러난 추측에서 비롯되기 때문입니다.

 

3. Discreet(신중한) vs Discrete(별개의)

'신중한(discreet)'이라는 말은 주목을 끌지 않으려고 주의한다는 뜻입니다.

[예]Discreetobservation of the patient enabled the doctors to draw vital conclusions.

(의사들은 환자들에 대한신중한관찰을 통해 중요한 결론을 도출했다.)

'별개(discrete)'라는 말은 동떨어진 것, 구별되는 것을 뜻합니다.

[예]The organisms can be classified intodiscretecategories.

(이 유기체는별개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.)

두 단어는 생김새가 비슷하기 때문에 서로 혼동되기도 합니다. 그러나 그 의미는 무척 다릅니다. 그러므로 사용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겠습니다. 이렇게 발음은 같지만 쓰는 법과 의미가 다른 단어들을 동음이의어(homophone)라고 합니다.

 

4. Old(옛) vs Original(원)

예전의 것, 과거의 것, 또는 더 이상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는 것에 대해 '옛/예전(old)'이라는 단어로 표현합니다. 예를 들어 예전 노래, 옛날 옷 등입니다.

[예]Someoldtheories suggested that the earth was flat.

(몇몇예전이론들은 지구가 평평하다고 주장했다.)

반면, '원래의(original)'는 복제나 수정 이전의 최초본이라는 뜻입니다. 예를 들어 원문, 원본 작품 등입니다.

[예]The team replicated theoriginalresearch to confirm its validity.

(연구팀은 유효성을 증명하기 위해원본연구를 모사했다.)

두 단어의 차이를 보다 분명히 알 수 있는 아래의 예를 봅시다.

[피해야 하는 용례]As we had stated in theold manuscript, each patient was administered the same dosage during the study period.

(우리가예전논문에서 썼던 바대로, 각 환자들은 연구 기간 동안 같은 양의 약물을 복용했다.)

[나은 용례]As we had stated in theoriginal manuscript, each patient was administered the same dosage during the study period.

(우리가논문에서 썼던 바와 같이, 각 환자들은 연구 기간 동안 같은 양의 약물을 복용했다.)

위 예문은 이 원고가 수정되었음을 의미합니다. 그러므로 '원 논문'이 '예전 논문'보다 더 적절한 단어 선택입니다.

 

5. As a result(그 결과) vs Based on the results(그 결과 바탕으로)

'그 결과로(as a result)'는 '-때문에'를 뜻합니다. 즉 한 가지 사건이 다른 사건의 원인임을 나타냅니다.

[예]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inconclusive.As a result, the research had to be repeated.

실험의 결과는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.그 결과, 실험을 반복해야 했다.

이 문장은 실험의 결과가 결론에 이르지 못했기 ‘때문에’ 실험을 새로 수행해야 했다는 뜻입니다.

반면, '그 결과를 바탕으로', 혹은 '그 결과에 따르면' 이라는 표현은 특정한 결과에 의한 추론을 나타냅니다.

[예]Based on the resultsof the experiment, we concluded that bats are nocturnal creatures.

(실험결과를 바탕으로,우리는 박쥐가 야행성 동물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.)

이는 앞서 언급한 실험의 결과가 박쥐가 야행성임을 나타냄을 의미한다.

'그 결과(as a result)' 와 '그 결과를 바탕으로(based on the results)' 같은 표현들은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바꾸어 쓸 수 없음을 명심하세요.

 

더 읽을 거리

카지노사이트 추천 [영어 논문 작성] 자주 혼동하는 논문용

[책 소개] 영어 논문에서 가장 일반적인 문법 오류 피하기

스크랩하기

해당 기사를 스크랩해보세요!

지식은 모두에게 함께 공유되어야 한다는 것이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이념입니다.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사는 Creative Commons license로 재포스팅 및 스크랩이 가능합니다. 아래의 가이드라인만 유념해주신다면 언제든지 무료로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의 지식을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!


  • 주의 :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들은 해당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. 기사를 스크랩 및 재포스팅 하실 때는 명확한 출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.
  • 이미지 재사용: 이미지를 원본이 아닌 편집 재사용하실 때는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허가가 필요합니다.

코드를 복사하셔서 기사 공유를 원하시는 사이트에 적용하시면 에디티지 인사이트 기사를 가장 쉬운 방법으로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.
위 코드를 복사하시어 원하시는 곳에 다시 포스팅 하실 수 있습니다.

Comments